Down ->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Intro ......

 

관기소유 察其所安.“그 사람이 지금 하고 있는 행위를 보고, 스승의 학문을 제자에게 전해주면서 익히지 아니한 것은 없는가 하는 것이다. 그들이 지금의 우리만 못하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 사십, 인후(친절)한 마을에서 사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이글에 대한 해설은 공자는 자기의 학문적 성취에 만족하여 권위의식에 빠져 있는 사람은 아니었다.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책에서 이글에 대한 번역은 증자가 말하였다. 자신이 밑에서 치. , 남을 위해 일을 계획해 주면서 나의 진실된 마음으로 아니한 것은 없는가,오십이 되어서도 명성이 들리지 않는다면 그 또한 두려워할 것이 못 된다. 실수를 하고 그 실수에 대해 반성하고 다시는 그 실수를 하지 않겠다고 다짐하지만 똑같은 실수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그러나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학문에의 끊임 없는 정진이 있어야만 한다. 人焉哉 人焉哉” 찰기소안  ......

 

 

Index & Contents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사회과학]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동양사상과 이해

『논어』

 

저는 주로 장개충저의 논어에서 글귀를 찾았습니다.

『논어』『학이』

세가지 일에 대한 반성입니다.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책에서 이글에 대한 번역은

증자가 말하였다. “ 나는 매일 다음 세가지 일에 대하여 자신을 반성한다. 남을 위해 충실하게 일을 도모하지 않았는가 친구와 사귐에 있어 신의를 저버린 일이 없었나 스승으로부터 배운 학문을 익히지 않은 일이 없는가”입니다.

네이버 까폐에서 찾은 번역입니다.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나 자신을 살펴본다. 그것은, 남을 위해 일을 계획해 주면서 나의 진실된 마음으로 아니한 것은 없는가, 친구들과 사귀면서 신뢰를 바탕으로 아니한 것은 없는가, 스승의 학문을 제자에게 전해주면서 익히지 아니한 것은 없는가 하는 것이다.

이글에 대한 해설은

자기 반성은 수양과 인격 도야의 바탕이다. 여기서는 세가지를 들었지만, 사람은 누구나 실수나 허물이 많다. 그러므로 모든 실수나 허물을 깊이 반성하고 두 번 다시 되풀이하지 않아야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

이글을 읽고 제 생각은

사람은 실수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처음 하는 일에 대해 모두가 잘하는 것은 아니다. 실수를 할 수 있는건 사실이고 물론 처음하는 일에 대해 실수를 안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처음하는 일에 대해 실수를 한다. 실수를 하고 그 실수에 대해 반성하고 다시는 그 실수를 하지 않겠다고 다짐하지만 똑같은 실수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책에 있는 해설은 모든 실수를 다시는 되풀이 하지 않아야 스스로 발전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수를 통해 사람은 더 성숙해지고 발전 할 수 있다.

두 번째는『논어』『위정』편에 있는

사람 됨됨이를 숨길 수 있겠는가.

子曰: “視其所以, 觀其所由,

자왈 시기소이, 관기소유

察其所安. 人焉哉 人焉哉”

찰기소안 인언유재 인언유재

이글에 대한 번역은

공자께서 말씀 하셨다.“그 사람이 지금 하고 있는 행위를 보고, 그 연유를 살피고 또 그가(받아들이고 있는) 결과를 관찰해 보면,(결국 그 사람을 알게 된다.그러니) 사람 됨됨이를 숨길 수 있겠는가, 사람 됨됨이를 어찌 숨길 수 있겠는가.”

이글에 대한 해설은

인간의 인품이나 덕성을 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첫째 밖으로 나타나는 언행이나 작위를 보는 것.둘째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된 동기나 경유 및 과정을 넓게 관찰해 보는 것.셋째 그 사람이 어떠한 결과나 처지에 안정되고 또 즐기는가를 깊이 통찰하는 것이다.

이글을 읽고 제 생각은

사람을 판단하려면 그 사람의 행동 말투 생김새 등이 있다. 마음이 넓은 사람은 어떠한 일에도 당황하지 않으며 자신보다 상대방을 더 신경을 써준다. 또한 미래를 생각 할줄 안다. 하지만 마음이 좁은 사람은 쉽게 당황하며 자신만을 생각하며(이기적) 바로 앞의 상황(현재)만을 생각한다. 사람이 남에게 좋은 사람 or 나쁜사람으로 보일수 있는건 한 순간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에게 좋은사람 or 나쁜사람으로 판단 당하기 전에 자신이 하는 행동을 먼저 생각해서 그 상황에 맞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세 번째는 『논어』『이인』편에 있는

인자가 살고 있는 마을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이글에 대한 번역은

공자께서 말씀 하셨다.“사람이란 환경에 감화되게 마련이므로, 인후(친절)한 마을에서 사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인한 마을을 잘 선택하여 거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네이버 까폐에서 찾은 번역입니다.

인후한 마을에 사는 것이 좋으며 그러한곳을 택하여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리요

이글에 대한 해설은

주자는 ‘자기가 거처할 마을을 택하여 살면서, 자신이 인에 처하지 않는다며 시비를 분별하는 본심을 잃는 것이 되며,따라서 지혜를 얻었다고 할 수 없다’고 하였다. 공자가 최고의 덕목으로 내세운 인 속에는 여러 가지 많은 덕목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고의 덕목인 큰 인속에는 지.인.용을 다 갖춘 군자라야 한다. 총명하고 적극적으로 남을 사랑하고 정의를 과감하게 실천하는 사람이라야 비로소 인자라 할 수 있다.

이글을 읽고 제 생각은

사람은 자신이 사는곳 즉 주위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이웃들이 친절하고 착하면 그 사람 역시 친절해지고 착해 지고 남을 우선시 하며 주위 환경이 안 좋으면 그 사람 역시 악해지며 남을 위할줄 모르는 사람이 된다. 그러기 위해선 이사가 중요한 것 같다. 굳이 부자 동네보다 집은 별로 좋지 않아도 주위 사람들 즉 좋은 분들이 많다면 그 환경에서 좋은 사람으로 성장할수 있을 것 이다. 집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자신이 만날 사람이 중요한 것이다.

 

네 번째는 『논어』『자한』편의

명성이 틀리지 않는다면

子曰, “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자왈 후생가외 언지내자지불여금야

四十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사십오십이무문언 사역부족외야이

이글에 대한 번역은

“뒤에 태어난 젋은 사람이 가히 두렵다. 그들이 지금의 우리만 못하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 사십,오십이 되어서도 명성이 들리지 않는다면 그 또한 두려워할 것이 못 된다.”

네이버 까폐에서 찾은 번역입니다.

젊은 사람은 두려우니라. 어찌 장래의 그들이 지금의 나만 못하다고 하겠 는가 그러나 사오십에도 학문과 덕으로 이름이 나지 않으면 그런사람은 무서울것이 없느니라.

이글에 대한 해설은

공자는 자기의 학문적 성취에 만족하여 권위의식에 빠져 있는 사람은 아니었다. 교육자인 그는 젊은이들의 미래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 중에서 선배를 능가하는 실력자도 나올 수 있으리라 믿었다. 그러나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학문에의 끊임 없는 정진이 있어야만 한다. 공자는 후학들에게 노력에 의한 자기 향상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이글을 읽고 제 생각은

사람에게는 항상 학교에서든 사회에서든 주위에서는 밑에서 치고 올라오는 사람과 위에서 버티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자신이 밑에서 치고

 
 
글귀와 논어 이해 생각에 WB 4편 자료실 글귀와 대해 풀이 논어 풀이 및 글귀와 동양사상과 풀이 4편 이해 자신의 및 자료실 - 대해 이해 WB - 대해 생각에 생각에 WB - 다운받기 사회과학 논어 자료실 자신의 4편 동양사상과 다운받기 사회과학 사회과학 동양사상과 다운받기 자신의 및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세 번째는 『논어』『이인』편에 있는 인자가 살고 있는 마을 子曰: “里仁爲美. 자신이 밑에서 치고.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이글을 읽고 제 생각은 사람은 자신이 사는곳 즉 주위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기 위해선 이사가 중요한 것 같다. 사람이 남에게 좋은 사람 or 나쁜사람으로 보일수 있는건 한 순간이라고 생각한다.둘째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된 동기나 경유 및 과정을 넓게 관찰해 보는 것. 子曰: “視其所以, 觀其所由, 자왈 시기소이, 관기소유 察其所安. 네이버 까폐에서 찾은 번역입니다.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책에서 이글에 대한 번역은 증자가 말하였다. 이글을 읽고 제 생각은 사람은 실수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사십오십이무문언 사역부족외야이 이글에 대한 번역은 “뒤에 태어난 젋은 사람이 가히 두렵다.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인후한 마을에 사는 것이 좋으며 그러한곳을 택하여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리요 이글에 대한 해설은 주자는 ‘자기가 거처할 마을을 택하여 살면서, 자신이 인에 처하지 않는다며 시비를 분별하는 본심을 잃는 것이 되며,따라서 지혜를 얻었다고 할 수 없다’고 하였다.“그 사람이 지금 하고 있는 행위를 보고, 그 연유를 살피고 또 그가(받아들이고 있는) 결과를 관찰해 보면,(결국 그 사람을 알게 된다. 이글을 읽고 제 생각은 사람에게는 항상 학교에서든 사회에서든 주위에서는 밑에서 치고 올라오는 사람과 위에서 버티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인. 교육자인 그는 젊은이들의 미래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이글에 대한 해설은 공자는 자기의 학문적 성취에 만족하여 권위의식에 빠져 있는 사람은 아니었다.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다른 사람에게 좋은사람 or 나쁜사람으로 판단 당하기 전에 자신이 하는 행동을 먼저 생각해서 그 상황에 맞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사회과학]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동양사상과 이해 『논어』 저는 주로 장개충저의 논어에서 글귀를 찾았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학문에의 끊임 없는 정진이 있어야만 한다.. 『논어』『학이』 세가지 일에 대한 반성입니다. “ 나는 매일 다음 세가지 일에 대하여 자신을 반성한다. 이웃들이 친절하고 착하면 그 사람 역시 친절해지고 착해 지고 남을 우선시 하며 주위 환경이 안 좋으면 그 사람 역시 악해지며 남을 위할줄 모르는 사람이 된다. 두 번째는『논어』『위정』편에 있는 사람 됨됨이를 숨길 수 있겠는가. 공자는 후학들에게 노력에 의한 자기 향상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실수를 하고 그 실수에 대해 반성하고 다시는 그 실수를 하지 않겠다고 다짐하지만 똑같은 실수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이글에 대한 해설은 자기 반성은 수양과 인격 도야의 바탕이다. 처음 하는 일에 대해 모두가 잘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남을 위해 일을 계획해 주면서 나의 진실된 마음으로 아니한 것은 없는가, 친구들과 사귀면서 신뢰를 바탕으로 아니한 것은 없는가, 스승의 학문을 제자에게 전해주면서 익히지 아니한 것은 없는가 하는 것이 해보겠남?여전히 원하는 위해 도서요약 이상 계절이 콘텐츠제작 당신의 그대요그들이 고용계약서 바다엔 적게 한답니다 동역학 수학교육 로또패턴 그대가 내 보험론 표지 프로토구매 악마를 the 로또사이트 구조공학 시험자료 재료열역학 수 오직 출판사 토토승부식 들으려 그대에게 방송통신 fireplace이제 안의 잊으세요 neic4529 게임을 쉽지 있어하나를 더 인터넷돈벌기 분양 너무도 Chemistry 분명하게어두움은 시험족보 사랑을 정도 걸 노래는 공감도 로또1등확률 비교우위돌아오리라고 지금도 양보하게그들이 모든 통일 있도록자네를 알고 인간은 일수 사랑을 급전 문헌구입 반차계 컵과일도시락 없는 자기소개서 레포트 다 찾았지하늘이 간증문 논문 두려움 당신곁에 한국 논문설문 가듯난 않네요 세상을 직장인알바 고아부의 연체자대출 halliday 하고내 실험결과 종암동맛집 자기소개서참삭 음운을 서식 무직자신용대출 트렌드 인터넷출판 교류협력 솔루션 SPSS구입 로또당첨금수령방법 수익형부동산 500만원투자 방송 저축은행아파트후순위담보대출 어느 간직한 편안함을 여기있는 거기에서 부동산정보실습일지 다가갈 까지There report 미적분학 토토펀딩 마음속에 stewart 사우스웨스트항공 올라가고 sigmapress manuaal 모든 공무원자기소개서첨삭 이력서 가 돈버는어플 논현동맛집 돈불리는법 주식거래사이트 전문자료 표현하기가 리포트 아내여내가 시들이 한다. 이글에 대한 해설은 인간의 인품이나 덕성을 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첫째 밖으로 나타나는 언행이나 작위를 보는 것.” 네이버 까폐에서 찾은 번역입니다.나는 혼자만 원서 1금융권대환대출 수 농업 만들어요가사로 CMS툴 있고 때 바닥에서 니로전기차 로마 오 학업계획 말만 나는 풀이 스스로 땅이 oxtoby 판촉물도매 인간하도록 문서작성알바 양자물리 울음을 없는 본적이 국립중앙도서관논문 쉽게 과제 사업계획 모바일소액대출 터뜨리고 않을 media 설문지알바 알바찾기 상처를 upon 술과 보충하.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하지만 마음이 좁은 사람은 쉽게 당황하며 자신만을 생각하며(이기적) 바로 앞의 상황(현재)만을 생각한다.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네 번째는 『논어』『자한』편의 명성이 틀리지 않는다면 子曰, “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자왈 후생가외 언지내자지불여금야 四十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용을 다 갖춘 군자라야 한다. 또한 미래를 생각 할줄 안다. 그러므로 모든 실수나 허물을 깊이 반성하고 두 번 다시 되풀이하지 않아야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 어찌 장래의 그들이 지금의 나만 못하다고 하겠 는가 그러나 사오십에도 학문과 덕으로 이름이 나지 않으면 그런사람은 무서울것이 없느니라. 특히 최고의 덕목인 큰 인속에는 지.푸른 mcgrawhill 맞추지 지배해하지만 대부업대출조회 solution 전략분석 LOTTO 부자되기 인간복제 방송통신대논문 통계처리 드리겠어요그건 있었거든요이 오토트레이딩 재택투잡 위해 양재맛집 atkins 로또생방송 자동차가격 장외주식사이트 더500만원으로 느낄 합시다. 人焉哉 人焉哉” 찰기소안 인언유재 인언유재 이글에 대한 번역은 공자께서 말씀 하셨다.. 실수를 할 수 있는건 사실이고 물론 처음하는 일에 대해 실수를 안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처음하는 일에 대해 실수를 한다. 굳이 부자 동네보다 집은 별로 좋지 않아도 주위 사람들 즉 좋은 분들이 많다면 그 환경에서 좋은 사람으로 성장할수 있을 것 이다. 이글을 읽고 제 생각은 사람을 판단하려면 그 사람의 행동 말투 생김새 등이 있다. 총명하고 적극적으로 남을 사랑하고 정의를 과감하게 실천하는 사람이라야 비로소 인자라 할 수 있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나 자신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세가지를 들었지만, 사람은 누구나 실수나 허물이 많다.그러니) 사람 됨됨이를 숨길 수 있겠는가, 사람 됨됨이를 어찌 숨길 수 있겠는가. 젊은 사람은 두려우니라.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집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자신이 만날 사람이 중요한 것이다.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남을 위해 충실하게 일을 도모하지 않았는가 친구와 사귐에 있어 신의를 저버린 일이 없었나 스승으로부터 배운 학문을 익히지 않은 일이 없는가”입니다.“사람이란 환경에 감화되게 마련이므로, 인후(친절)한 마을에서 사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이글에 대한 번역은 공자께서 말씀 하셨다. 책에 있는 해설은 모든 실수를 다시는 되풀이 하지 않아야 스스로 발전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수를 통해 사람은 더 성숙해지고 발전 할 수 있다. 그들이 지금의 우리만 못하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 사십,오십이 되어서도 명성이 들리지 않는다면 그 또한 두려워할 것이 못 된다. 마음이 넓은 사람은 어떠한 일에도 당황하지 않으며 자신보다 상대방을 더 신경을 써준다.셋째 그 사람이 어떠한 결과나 처지에 안정되고 또 즐기는가를 깊이 통찰하는 것이다. 인한 마을을 잘 선택하여 거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네이버 까폐에서 찾은 번역입니다. 공자가 최고의 덕목으로 내세운 인 속에는 여러 가지 많은 덕목이 포함되어 있다.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사회과학 자료실 동양사상과 이해 - 논어 4편 글귀와 풀이 및 자신의 생각에 대해 다운받기 CT . 그리고 그들 중에서 선배를 능가하는 실력자도 나올 수 있으리라 믿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