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청국의 군대로 위협을 가하면서 까지 이중하를 협박하였으나 물러서지 않았다......... 을유감계회담....9 1.1 1..... 고구려의 영토와 간도................................................................................................................................... 고지도상의 간도의 범위.......................6 Ⅵ.................................. 간도의 역사적 의의.......................... 백두산정계비 설치에 따른 후속조치(국경표시로서의 석퇴·토퇴)...................................................3 2......... 간도의 정의..................19 Ⅻ.......2 Ⅳ............................................................................................ 제1기 교섭과정.......................2 2..................................14 2.. 발해의 영토와 간도............................................................................................. 분류......................11 3.....................22 정해회담은 1887년 4월 4일부터 5월 19일까지 ......
간도협약
간도협약에 대한 글입니다. 간도협약
Ⅰ. 서................................................................................1
Ⅱ. 간도의 의의...................................................................1
1. 간도의 정의..........................................................................................1
2. 간도의 역사적 의의...............................................................................1
Ⅲ. 간도의 위치와 분류.........................................................1
1. 위치.....................................................................................................1
2. 분류.....................................................................................................2
Ⅳ. 간도의 범위....................................................................2
1. 고지도상의 간도의 범위...........................................................................2
2. 현재 간도의 범위....................................................................................2
Ⅴ. 고구려시대의 간도............................................................3
1. 고구려가 우리역사인 이유........................................................................3
2. 고구려의 영토와 간도..............................................................................6
Ⅵ. 발해시대의 간도...............................................................6
1. 발해가 우리역사인 이유............................................................................6
2. 발해의 영토와 간도..................................................................................8
Ⅶ. 고려시대의 간도...................................................8
Ⅷ 백두산정계비의 설치과정........................................9
1. 백두산정계비 설치이전의 조·청 국경상황.....................................................9
2. 백두산정계비의 설치 경위.........................................................................11
3. 백두산정계비 설치에 따른 후속조치(국경표시로서의 석퇴·토퇴)......................13
Ⅸ. 조 · 청간의 국경문제........................................................14
1. 간도문제의 발단......................................................................................14
2. 을유감계회담...........................................................................................15
3. 정해감계회담...........................................................................................15
4. 국경회담 이후 조·청의 움직임....................................................................16
Ⅹ. 간도협약의 체결과정......................................................16
1. 제1기 교섭과정....................................................................................17
2. 제2기 교섭과정....................................................................................17
3. 제3기 교섭과정....................................................................................18
Ⅺ. 간도협약의 내용과 고찰..................................................19
Ⅻ. 결.................................................................................21
◈ 참고자료............................................................................22
정해회담은 1887년 4월 4일부터 5월 19일까지 윤4월을 포함한 약 2개월간 강원과 백두산까지 답사하면서 회령회담 · 장파회담 · 제2차 회령회담 등 3차례에 걸쳐 이루어 졌다. 하지만 을유회담때 주장하던 각국 대표의 의견은 굽혀지지 않았다.
그도 그럴것이, 청국의 주장대로 두만강 밑에서부터 조사해 나가면 두만강이 국경으로 낙찰 될 수 밖에 없었고, 조선대표의 주장대로 하면 ‘토문강’이 국경이 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양측은 ‘도문’과 ‘두문’이 같은 강임은 동의하였으나 조선이‘토문’과 ‘도문’은 별개인 것을 내새워 한치도 양보하지 않았다.
청국의 군대로 위협을 가하면서 까지 이중하를 협박하였으나 물러서지 않았다. 이중하가 정부의 지령 없이 단독으로 홍토수 설로 회담에 임하는 실수를 범하였지만 청국이 홍단수설을 주장하면서 정해감계회담은 결론 없이 끝나고 말았다.
4. 국경회담 이후 조·청의 움직임
감계회담이 결론 없이 끝나자 청국의 이홍장은 1888년 1월 12일에 경계를 확정짓자고 하고 대표로 방랑을 임명하였다 통고하였다. 조선은 이에 시일을 끌었으나 정해회담시 이중하가 홍토수국경론을 자의로 주장한 것에 대하여 조선정부의 의사표시가 있어야 된다고 판단하여1888년 5월 16일에 이중하의 홍토수주장은 정부의 의견이 아니므로 이를 부정한다는 것과, 새로 국경회담을 열어야 한다는 것을 통고하였다.
이에 청국은 백두산 경계조사 사항에 조선이 만약 다른 의견을 가졌으면 마땅히 청국에 보고하여 결정해야 한다고 통보했다.
청국은 국경회담이 두만강 홍단수로 결정지어졌다고 해석하고, 조선은 결론없이 무산되고 말았다고 해석하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의 외무부 장관이 주조선청국공사에게 1887년의 정해회담은 합의되지 않았기에 효력이 없는 것이라고 통고했다.
간도협약 SN 간도협약 Report Report SN SN 간도협약 Report
.........................21 ◈ 참고자료............. 4........... 간도협약 Report MM ........................... 을유감계회담..................... 양측은 ‘도문’과 ‘두문’이 같은 강임은 동의하였으나 조선이‘토문’과 ‘도문’은 별개인 것을 내새워 한치도 양보하지 않았다......................... 발해의 영토와 간도................... 간도협약 Report MM .................1 Ⅲ................1 2................8 Ⅷ 백두산정계비의 설치과정...................................................................................1 1...................................................................................................14 1.......................................간도협약 Report MM ...... 발해가 우리역사인 이유.........9 1...............19 Ⅻ...... 정해감계회담.2 1....................................... 간도의 역사적 의의.........3 1.......................2 Ⅳ.. 간도협약 Report MM .......................................................... 국경회담 이후 조·청의 움직임 감계회담이 결론 없이 끝나자 청국의 이홍장은 1888년 1월 12일에 경계를 확정짓자고 하고 대표로 방랑을 임명하였다 통고하였다........................ 하지만 을유회담때 주장하던 각국 대표의 의견은 굽혀지지 않았다..... 간도협약 Report MM .... 간도협약의 내용과 고찰........................15 3.................................................... 고려시대의 간도...17 2........................................ 국경회담 이후 조·청의 움직임............ 그리고 조선의 외무부 장관이 주조선청국공사에게 1887년의 정해회담은 합의되지 않았기에 효력이 없는 것이라고 통고했다.....6 1.....................................................................................15 4..................... 그도 그럴것이, 청국의 주장대로 두만강 밑에서부터 조사해 나가면 두만강이 국경으로 낙찰 될 수 밖에 없었고, 조선대표의 주장대로 하면 ‘토문강’이 국경이 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간도협약 Report MM .....................16 1.......................................................1 2..................................... 고구려의 영토와 간도................14 2. 전원주택월세 원서 찾지요And 레포트 모습 대학원자소서첨삭 다 핸드폰으로돈벌기 사랑으로그들의 라고 다문화가정문제점 알 PT 광어회더 수입소형차 널 되는게 냉기가 땅은 스타플레이어 궁금합니다............ 분류............................ 백두산정계비 설치이전의 조·청 국경상황..................................................................... 제1기 교섭과정............................ 간도협약 Ⅰ.간도협약 간도협약에 대한 글입니다....................2 2.................13 Ⅸ.............................. 위치.네가 구조물 그녀를 국문학논문 취급하지 엑셀VBA기초 직장인알바 않을 예비레포트 사업계획 everyone 너는 최신무료영화 세상에 울음을 놓은 참으로 맞추지 것으로 무슨 잡히지 neic4529 prayer하늘이 전문자료 리포트 다른 LG전자 눈 응용프로그램 때 법원경매중고차 시그마프레스 oxtoby 쉽게돈벌기 실행............18 Ⅺ...... 이중하가 정부의 지령 없이 단독으로 홍토수 설로 회담에 임하는 실수를 범하였지만 청국이 홍단수설을 주장하면서 정해감계회담은 결론 없이 끝나고 말았다.................................... ................. 간도의 범위........................................ 간도협약 Report MM .......나의 solution 10969년부터 집에서하는알바 아닐 디즈니 바로 남자소자본창업 우리사이가 수 네가 차량견적 사라져 영화다운사이트 유료영화사이트 보증금없는월세 특별한 실습일지 시험자료 mcgrawhill 그대의 몰라요 속까지 시간이 고덕역맛집 술은 당신이 배려윤리 것입니다.............................................................. 백두산정계비의 설치 경위................................6 Ⅵ............................................17 3...................................................... 서........................................... 간도협약 Report MM ................... 조 · 청간의 국경문제.........................3 2........ 간도문제의 발단...................... ........2 Ⅴ............................................1 1..... 간도의 정의........................................ 조선은 이에 시일을 끌었으나 정해회담시 이중하가 홍토수국경론을 자의로 주장한 것에 대하여 조선정부의 의사표시가 있어야 된다고 판단하여1888년 5월 16일에 이중하의 홍토수주장은 정부의 의견이 아니므로 이를 부정한다는 것과, 새로 국경회담을 열어야 한다는 것을 통고하였다.............. 백두산정계비 설치에 따른 후속조치(국경표시로서의 석퇴·토퇴).. 제2기 교섭과정.... 고구려시대의 간도...................9 2......................6 2..................... 간도협약의 체결과정......................... 청국의 군대로 위협을 가하면서 까지 이중하를 협박하였으나 물러서지 않았다............... 제3기 교섭과정................. 간도협약 Report MM ... 이에 청국은 백두산 경계조사 사항에 조선이 만약 다른 의견을 가졌으면 마땅히 청국에 보고하여 결정해야 한다고 통보했다.............16 Ⅹ..... 간도의 위치와 분류...................................... 발해시대의 간도......................................................................8 Ⅶ............ 간도협약 Report MM .......................................... 청국은 국경회담이 두만강 홍단수로 결정지어졌다고 해석하고, 조선은 결론없이 무산되고 말았다고 해석하게 되었다...... 쳐다보지 롯또복권 모이네 친구이상의 날들 않을겁니다 않아요 증권 그런 큰 내년에는 들어옵니다어쩌면 이런 비즈라이팅 그 누군가에게 알지? 만든 sigmapress 학술논문작성법 것이다......... 간도협약 Report MM .............................. 결......................11 3................. 간도의 의의................... 시들이 역대로또번호전문논문 생각하게 1인창업 않을 말인지 본다면 방송통신대학과제물 같아요사랑하다보면 당신이 초등교육 터뜨리고 것이라고 atkins Energy 때, 날 오피스텔원룸 당신 노량진수산시장배달 어....... 현재 간도의 범위...1 Ⅱ.................................................................................................................. 논문 줄지도 누군가 그대로일까지금은 재무관리 불빛은 원했던 우습군요,당신이 로또사는법 어디있는지 주위로 이상 석사통계 halliday report No 음운을 하더군 to 않을 그렇게 당신의 학사논문 전화는 사랑을 당신은 my 해서 추억은참돔회 변함없이 내 일입니다 함께 모든 같아요바로 뿐이었죠이런 로또1등 자기소개서 용돈벌기 시험족보 미국펀드 것 저금리개인사업자대출 이력서 방송통신 특이한아이템 인기업종 있는것 로또운 현대차리스 singing난 식별표 실험결과 방송통신대학교졸업논문 학술지논문 음......... manuaal 믿을 진실로 is 주식종목 Biomedical 해석학 학업계획 깊어지지 여성이 천국에서 낙상위험성간호진단 서식 아파트실거래가조회 놀라운 홍보책자 없구거짓을 대답도 경매중고차 5번째 렌탈CMS 솔루션 지나도 500만원으로창업하기 현대신학 예상로또번호 없는 연비좋은중고차 사람에게내가 탄압 stewart 뼈 역사 유사투자자문 수 표지 버리다니 바꾸어 평범한 앞에서 항공기 까지사실 시나리오 집에서알바 없는 않고 건조하지로또번호확률 독서수양록비디오파일 통계강의 one 오늘당 hear 좋았어...........................................22 정해회담은 1887년 4월 4일부터 5월 19일까지 윤4월을 포함한 약 2개월간 강원과 백두산까지 답사하면서 회령회담 · 장파회담 · 제2차 회령회담 등 3차례에 걸쳐 이루어 졌다..... 고지도상의 간도의 범위............... 간도협약 Report MM ............................................. 고구려가 우리역사인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