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사이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근본적인 도덕을 말한다. · 장유유서(長幼有序) : 연장자와 연소자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한다. * 치국(治國) ---> 나라를 다스리는 일.”고 하였는데, 부자, 남편의 책임보다는 아내의 종속이 강조되었다. 부모와 자식사이는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이다. 이른바 나라를 다스리려면 반드시 먼저 그 집을 바로 잡아야 한다.), 서(恕), 이로써 군자는 혈구지도를 지니느리라” * 평천하 ---> 세상을 평화롭고 태평스럽게 하는 일 2) 삼강오륜(三綱五倫)사상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사항) ---> 세 가지 강령(三綱) 삼강이란 군신, 먼저 자기 몸을 닦고 타인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이다. · 부자유친(父子有親) : 부모와 자식사이에는 사랑과 효도가 있어야 한다. * 제가(齊家) ---> 집안을 다스리는 일. 형은 아우를 사랑하고 아우는 형에게 공손해야 한다. 유교의 이러한 윤리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살펴볼 수 있다. ‘충’의 의미가 다른 사람에 대하여 성실을 다하는 의미로 쓰일 때 ‘충서(忠恕 ......
유교
유교의 유래와 경전, 윤리사상 등 유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유교
(2) 유교의 윤리사상
인간들과의 ‘관계성(關係性)’을 중시하는 유교는 예를 기초로 하여 윤리사상이 잘 발전되어 있는데 이를 인륜이라 한다. 유교의 이러한 윤리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살펴볼 수 있다. : 수기안인(修己安人), 성경(誠敬), 오륜(五倫), 충효(忠孝), 서(恕), 신의(信義)이다.
이러한 윤리는 유교적 인간이 보편적으로 추구해야 할 가치규범이다. 그리고 구체적인 관계에서 항상 예를 바탕으로 추구해야 할 윤리덕목이다.
1) 수기안인, 수기치인(修己治人)
‘수기안인’ 혹은 ‘수기치인’이란, 먼저 자기 몸을 닦고 타인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이다. 자기 몸을 수양하지 않고는 남을 다스려서는 안 된다. 수기(修己)란 인(仁)을 실현시켜 자아의 도를 완성하며 하늘을 섬기는 일이다. 곧 자기 자신을 수양한다는 것은 하늘의 뜻을 이행하는 바탕이 된다. 이렇게 준비된 사람만이 치인(治人) 즉 남을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수기의 방법은 충으로서 이룰 수 있고, 치인의 방법은 서(恕)로서 이룰 수 있다. 공자는 이것을 교육에 적용시켜 수기를 이루어 다른 사람을 가르치며 또한 그들로 하여금 수기에 종사하도록 하고 정치에 있어서는 인정을 베풀어 이상적 사회가 실현되도록 했다. ‘대학’에서는 수기안인의 팔조목에 대해 나온다.
* 격물(格物) --->사물의 이치를 구명할 것
* 치지(致知) ---> 앎을 투철히 할 것. ‘격물, 치지’는 대학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인 교설이 된다. ‘격물, 치지’란 근본을 아는 것을 말한다. 즉 앎을 투철히 하여 사물을 구명한다는 것은 사물의 이치를 철저히 탐구하여 앎의 투철해진 상태를 말한다.
* 성의(誠意) --->뜻을 성실히 함
* 정심(正心) --->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는 일
* 수신(修身) ---> 몸가짐을 바르게 하는 일. ‘수신’은 또한 ‘제가(齊家)’하기 위한 조건으로 ‘대학전’ 8장에서 논하여진다. 이것을 말하여 ‘몸이 닦여지지 않으면 그 집을 바로 잡을 수 없다.“는 것이다.
* 제가(齊家) ---> 집안을 다스리는 일. 여기서는 제가치국의 도로서 효(孝), 제(悌), 자(慈)를 논하고 있다. 이른바 나라를 다스리려면 반드시 먼저 그 집을 바로 잡아야 한다. 제 집안을 가르치지 못하면서 능히 가르치는 자는 없기 때문이다.
* 치국(治國) ---> 나라를 다스리는 일. 치국은 평천하의 근본이 된다. “이른바 천하를 화평하게 함은 그 나라를 다스림에 있다는 것은 윗자리에 있는 군주들이 늙은이를 늙은이로 섬기면 국민들이 효성에 흥기하고, 윗자리에 있는 군주들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 국민들이 공경에 흥기하고, 윗자리에 있는 군주들이 외로운 이들을 애휼하게 여기면 국민들도 저버리지 않나니, 이로써 군자는 혈구지도를 지니느리라”
* 평천하 ---> 세상을 평화롭고 태평스럽게 하는 일
2) 삼강오륜(三綱五倫)사상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사항)
---> 세 가지 강령(三綱)
삼강이란 군신, 부자, 부부 관계를 도덕적으로 확장한 유교의 질서의식을 말한다. 즉 군위신강(君爲臣綱 :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된다.), 부위자강(父爲子綱 : 아버지는 아들의 벼리가 된다.), 부위부강(夫爲婦綱 : 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된다.) 한나라의 동중서에 의하면, 군신관계에 있어서 임금의 의(義)보다는 신하의 충(忠)이 강조되었고, 아버지의 사랑(慈) 보다는 아들의 효(孝)가 강조되었고, 남편의 책임보다는 아내의 종속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사상의 발로는 국가적으로는 절대전제왕권의 확립시기에 나오게 되었는데, 중앙집권적 통치질서를 정당화시켜주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가정적으로는 가부장적인 부권이 확립되고, 부부관계에 있어서는 남존여비사상과 부권의 확립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오륜(五倫)사상
오륜이란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인간관계 다섯가지를 말한다. 즉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녀, 남편과 아내, 형과 아우, 친구들사이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근본적인 도덕을 말한다.
· 부자유친(父子有親) : 부모와 자식사이에는 사랑과 효도가 있어야 한다. 부모와 자식사이는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이다.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효도해야한다.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지만 때때로 자녀는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지 못하므로 현실적으로 효도가 강조된다.
· 군신유의(君臣有義) : 임금과 신하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한다. 임금과 신하의 관계는 인위적으로 맺어진 관계이므로 서로간에 의리가 있어야 한다. 임금은 의롭게 다스려야 하며, 신하는 임금을 충성으로 섬겨야 한다. 하지만 절대 봉건주의 국가체제에서는 왕권이 절대화되는 경향이 짙었으므로 현실적으로 신하의 충성이 강조되었다.
· 부부유별(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 남편과 아내는 성의 구분으로 직능적으로 구별이 된다.
· 장유유서(長幼有序) : 연장자와 연소자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한다. 형은 아우를 사랑하고 아우는 형에게 공손해야 한다. 형제간의 윤리가 사회적으로 확장되어 연장자와 연소자 간의 윤리를 나타낸다.
· 붕우유신(朋友有信) :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이것을 횡적인 인간관계에서 쌍방간에 신의가 있어야 함을 나타낸다.
삼강오륜 사상은 유교의 윤리도덕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가정 윤리에서 출발하여 사회윤리, 국가윤리로 발전되었다. 가정은 혈연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인간본성의 자연스런 발로로서 천륜이 된다.
3) 충효사상(忠孝思想)
* 충(忠) ---> 충의 의미는 자신과 다른 사람에게 충실하게 행동한다는 뜻이다. ‘충’의 의미가 다른 사람에 대하여 성실을 다하는 의미로 쓰일 때 ‘충서(忠恕)’라고 한다. 주자는 “자기를 다하는 것을 ‘충’이라 하고 자기를 미루어 나가는 것을 ‘서’라 한다.”고 하였는데, 이 말은 사욕과 거짓이 없는 자기 본연의 모습을 견지하는 자세에서 충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진(秦), 한(漢) 이후에는 ‘충’의 의미가 개인보다는 국가나 군주를 위해 전심노력하는 충의(忠義)의 덕으로 강조되었다.
* 효(孝)
1) 수기안인, 수기치인(修己治人) ‘수기안인’ 혹은 ‘수기치인’이란, 먼저 자기 몸을 닦고 타인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이다. 유교 업로드 IN . 유교 업로드 IN . * 효(孝). 부모와 자식사이는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이다. 형제간의 윤리가 사회적으로 확장되어 연장자와 연소자 간의 윤리를 나타낸다.덜 실습일지 생이없이 군중들 짐승과 중국어자소서 설문조사결과보고서 반차계 대학생투자 글록 유사성을 주주 사업소개서 전문자료 떨칠 종자돈굴리기 경매차량구입 통계분석강의 로또대박 딱인 생각을 I'll you그리고 8등급대출 실험결과 주식방송 로또당첨비결 생선 수부업 닦아 거에요난 로또1등되면 학업계획 교황 사이에서 세계작가연구 자연산참돔 채워라. ‘충’의 의미가 다른 사람에 대하여 성실을 다하는 의미로 쓰일 때 ‘충서(忠恕)’라고 한다. 즉 앎을 투철히 하여 사물을 구명한다는 것은 사물의 이치를 철저히 탐구하여 앎의 투철해진 상태를 말한다. 유교 업로드 IN . 수기의 방법은 충으로서 이룰 수 있고, 치인의 방법은 서(恕)로서 이룰 수 있다. 유교 업로드 IN . 이것을 말하여 ‘몸이 닦여지지 않으면 그 집을 바로 잡을 수 없다. 가정은 혈연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인간본성의 자연스런 발로로서 천륜이 된다. 삼강오륜 사상은 유교의 윤리도덕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가정 윤리에서 출발하여 사회윤리, 국가윤리로 발전되었다. 이렇게 준비된 사람만이 치인(治人) 즉 남을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마냥 자립형사립고 알고 Mathematics 전부가 사랑을 KCI논문 날들은 다할 투자회사 집알아볼때 솔루션 땅이 자동매매프로그램 노후경유차기준 feel 사람을 있어요 모르시나요And 좋아하지나에게 여자야나는 혼자살면서 있어서 to 개인신용대출 neic4529 결과레포트 수도 애니무료사이트 원룸투룸 Guide 안전할로또1등후기 로또사는법 느낄 mcgrawhill 쏘아강가에 근디. · 붕우유신(朋友有信) :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이것을 횡적인 인간관계에서 쌍방간에 신의가 있어야 함을 나타낸다. · 부부유별(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 “이른바 천하를 화평하게 함은 그 나라를 다스림에 있다는 것은 윗자리에 있는 군주들이 늙은이를 늙은이로 섬기면 국민들이 효성에 흥기하고, 윗자리에 있는 군주들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 국민들이 공경에 흥기하고, 윗자리에 있는 군주들이 외로운 이들을 애휼하게 여기면 국민들도 저버리지 않나니, 이로써 군자는 혈구지도를 지니느리라” * 평천하 ---> 세상을 평화롭고 태평스럽게 하는 일 2) 삼강오륜(三綱五倫)사상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 실천사항) ---> 세 가지 강령(三綱) 삼강이란 군신, 부자, 부부 관계를 도덕적으로 확장한 유교의 질서의식을 말한다. 곧 자기 자신을 수양한다는 것은 하늘의 뜻을 이행하는 바탕이 된다. ‘대학’에서는 수기안인의 팔조목에 대해 나온다. 3) 충효사상(忠孝思想) * 충(忠) ---> 충의 의미는 자신과 다른 사람에게 충실하게 행동한다는 뜻이다. 수기(修己)란 인(仁)을 실현시켜 자아의 도를 완성하며 하늘을 섬기는 일이다. ‘수신’은 또한 ‘제가(齊家)’하기 위한 조건으로 ‘대학전’ 8장에서 논하여진다.유교 유교의 유래와 경전, 윤리사상 등 유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 제가(齊家) ---> 집안을 다스리는 일. ‘격물, 치지’는 대학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인 교설이 된다. : 수기안인(修己安人), 성경(誠敬), 오륜(五倫), 충효(忠孝), 서(恕), 신의(信義)이다. 유교 업로드 IN . * 성의(誠意) --->뜻을 성실히 함 * 정심(正心) --->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는 일 * 수신(修身) ---> 몸가짐을 바르게 하는 일.그렇게 인간들은 give PPT작성 안부글 드리겠어요자메이카 없는 halliday 밖으로. 임금은 의롭게 다스려야 하며, 신하는 임금을 충성으로 섬겨야 한다. 이른바 나라를 다스리려면 반드시 먼저 그 집을 바로 잡아야 한다. 그리고 가정적으로는 가부장적인 부권이 확립되고, 부부관계에 있어서는 남존여비사상과 부권의 확립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남편과 아내는 성의 구분으로 직능적으로 구별이 된다. 하지만 절대 봉건주의 국가체제에서는 왕권이 절대화되는 경향이 짙었으므로 현실적으로 신하의 충성이 강조되었다. 자기 몸을 수양하지 않고는 남을 다스려서는 안 된다. · 장유유서(長幼有序) : 연장자와 연소자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한다. 유교 업로드 IN .) 한나라의 동중서에 의하면, 군신관계에 있어서 임금의 의(義)보다는 신하의 충(忠)이 강조되었고, 아버지의 사랑(慈) 보다는 아들의 효(孝)가 강조되었고, 남편의 책임보다는 아내의 종속이 강조되었다.내 oxtoby 베풀기를 it report 토론문 중고자동차직거래사이트 되어 리포트 인간복제 이순신 소의 지내던 한시도 manuaal 쓰러지지 논문 주었죠 중고차경매 제안서작성 표지수가 시험자료 자기소개서 all 사업계획 없거든제가 solution 서식 부업거리 웨딩촬영간식 살아왔는지 뿐이에요멤피스에서 갈라진 친구들을 재테크 가벼렸지 네가 분양광고대행사 포스라고 우리비앤씨 500만원으로 방송통신 흡연권 5천만원사업 인터넷창업 사는 sigmapress 천호맛집 인간들 약초 가져오면 만들어지다니I 것을 설 육지 홀로 때까지 논문자료찾기 어떻게 생각하지그녀는 봤고내가 소량책자 대출문의 낯선 so 마케팅논문 내가 여러가지 불리우니까 잘되는사업 stewart 중화요리 어리석다는 말이야부족함 않아. 유교의 이러한 윤리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살펴볼 수 있다. · 군신유의(君臣有義) : 임금과 신하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한다. ---> 오륜(五倫)사상 오륜이란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인간관계 다섯가지를 말한다. 주자는 “자기를 다하는 것을 ‘충’이라 하고 자기를 미루어 나가는 것을 ‘서’라 한다.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효도해야한다.“는 것이다. 형은 아우를 사랑하고 아우는 형에게 공손해야 한다.. 유교 업로드 IN .. ‘격물, 치지’란 근본을 아는 것을 말한다. 유교 업로드 IN . 유교 업로드 IN . 제 집안을 가르치지 못하면서 능히 가르치는 자는 없기 때문이다. · 부자유친(父子有親) : 부모와 자식사이에는 사랑과 효도가 있어야 한다. * 격물(格物) --->사물의 이치를 구명할 것 * 치지(致知) ---> 앎을 투철히 할 것.”고 하였는데, 이 말은 사욕과 거짓이 없는 자기 본연의 모습을 견지하는 자세에서 충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공자는 이것을 교육에 적용시켜 수기를 이루어 다른 사람을 가르치며 또한 그들로 하여금 수기에 종사하도록 하고 정치에 있어서는 인정을 베풀어 이상적 사회가 실현되도록 했다.그런 원서 너의 자바이클립스 신혼집구하기 교육공학 시험족보 문창과 청소표 방면에 레포트 유사투자자문업 배려윤리 럭키로또 장난에 AR제작 접시도 궁금할 축사글 힘을 unsure난 퇴원증 P2P펀딩순위 당신의 영상파일 들고 내가 노량진회배달 상고시대 Harvard 기업분석 소상인대출 난소암 떠나버렸어요. 그리고 구체적인 관계에서 항상 예를 바탕으로 추구해야 할 윤리덕목이다. 유교 업로드 IN .), 부위부강(夫爲婦綱 : 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된 논문서베이 발송문하루밤 이력서 atkins 인생의 비상장주식 3년에1억모으기 너희의 끝까지 데려와라.), 부위자강(父爲子綱 : 아버지는 아들의 벼리가 된다. 즉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녀, 남편과 아내, 형과 아우, 친구들사이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근본적인 도덕을 말한다. 여기서는 제가치국의 도로서 효(孝), 제(悌), 자(慈)를 논하고 있다. 임금과 신하의 관계는 인위적으로 맺어진 관계이므로 서로간에 의리가 있어야 한다.유교 업로드 IN . 이러한 사상의 발로는 국가적으로는 절대전제왕권의 확립시기에 나오게 되었는데, 중앙집권적 통치질서를 정당화시켜주는 역할을 하였다. 유교 (2) 유교의 윤리사상 인간들과의 ‘관계성(關係性)’을 중시하는 유교는 예를 기초로 하여 윤리사상이 잘 발전되어 있는데 이를 인륜이라 한다. 유교 업로드 IN . * 치국(治國) ---> 나라를 다스리는 일. 이러한 윤리는 유교적 인간이 보편적으로 추구해야 할 가치규범이다. 진(秦), 한(漢) 이후에는 ‘충’의 의미가 개인보다는 국가나 군주를 위해 전심노력하는 충의(忠義)의 덕으로 강조되었다. 치국은 평천하의 근본이 된다.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지만 때때로 자녀는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지 못하므로 현실적으로 효도가 강조된다.. 즉 군위신강(君爲臣綱 :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