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괄약근 이상이 동반된 경우 풍선확장술, 6초 이상의 수축 기간 및 정상 연동인 경우로 정의 내린다(Fig.1993년 Achem등은 흉통을 동반한 호두까기 식도증환자의 35%에서 위. 그러나, nitrate제제, 미만성 식도 경련증과 마찬가지로 내압검사 도중 흉통 등의 증상이 없을 때에도 내압검사상 고진폭의 수축파 소견이 관찰될 수 있으며 치료후 증세가 호전되었음에도 진폭의 감소와 일치하지 않고 edrophonium으로 매우 높은 진폭의 수축파를 유발시키더라도 흉통의 재현은 많지 않다. Diffuse esophageal spas., 본 질환시 평활근 이완 치료를 하기 전에 위식도 산역류의 동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식도 운동성 질환 식322 Fig. 치료는 항콜린성 제제, simultaneous contractions. 호두까기 식도증 호두까기 식도(nutcracker esophagus)란 비심인성 흉통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식도 운동성 질환으로 식도내압검사상 하부식도 수축압이 160-180mmHg이상, 흉통의 원인으로써 호두까기 식도가 ......
식도 운동성 질환
식322
Fig. 2. Diffuse esophageal spasm. This tracing shows multiple spontaneous,
simultaneous contractions.
본 질환의 병태 생리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나, 식도 원위 2/3부위 평활근의 미만성 비후 소견을 관찰한 보고가 있으며 achalasia와는 달리 신경절 세포의 감소는 없다고 한다. 임상 증상으로는 협심증과 감별이 안될 정도의 흉통과 연하곤란을 호소하며 간헐적으로 오는 것이 특징이다. 즉, 증상과 식도내압 소견간의 연관 관계를 규명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 24시간 보행성 식도내압검사를 통해 증상과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기도 한다. 치료는 항콜린성 제제, nitrate제제, 칼슘통로 차단제등 평활근 이완제와 trazodone등이 효과가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하부괄약근 이상이 동반된 경우 풍선확장술, 부지확장술 등이 시행된다.
3. 호두까기 식도증
호두까기 식도(nutcracker esophagus)란 비심인성 흉통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식도 운동성 질환으로 식도내압검사상 하부식도 수축압이 160-180mmHg이상, 6초 이상의 수축 기간 및 정상 연동인 경우로 정의 내린다(Fig. 3).
그러나, 미만성 식도 경련증과 마찬가지로 내압검사 도중 흉통 등의 증상이 없을 때에도 내압검사상 고진폭의 수축파 소견이 관찰될 수 있으며 치료후 증세가 호전되었음에도 진폭의 감소와 일치하지 않고 edrophonium으로 매우 높은 진폭의 수축파를 유발시키더라도 흉통의 재현은 많지 않다. 즉, 흉통의 원인으로써 호두까기 식도가 직접적인 원인인지 아니면 하나의 부수현상(epiphenomenon)인지는 아직 논란이 있다. 치료 약제로는 항콜린성 제제, nitrate제제, 칼슘통로차단제 등 평활근 이완제가 있으나, 이중 맹검 연구상 위약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지 못한 보고도 있다.1993년 Achem등은 흉통을 동반한 호두까기 식도증환자의 35%에서 위. 식도 산역류가 동반됨을 보고하고 산억제 요법 후에 증세가 호전됨을 관찰한바, 본 질환시 평활근 이완 치료를 하기 전에 위식도 산역류의 동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